본문 바로가기
IT Knowledge

파이썬 공부, 시작이 반은 아니다

by IT성장스토리 2020. 6. 13.
반응형

2 아티를 배우는 두번째 시간을 맞이했어요.
  제 티스토리를 방문한 모든 분들 반갑습니다.
 
 파이썬을 만든
 귀도 반 로섬(네덜란드인)
 
 프로그래밍 언어를 잘 익히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그것을 아는 쉬운 방법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직접 사용하는 이들과
 프로그래밍 언어를 만든 사람들에 대해
 알면 쉬울것 같아요.
 
 귀도 반 로섬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대학에서 수학과 컴퓨터 공학을 전공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전문가들 중에는 수학과 컴퓨터와 관련된 이들이 많습니다.
 IT분야 종사자들중 특출난 분들도
 위 과목을 전공한 분들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글을 읽는 분들 중 초등학생인 분들이 있다면
 지금부터 수학에 깊은 관심과 애정을 쏟아보세요.
 엄청나게 뛰어난 학자수준의 실력이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물론 뛰어나면 더할나위없이 좋겠지만.
 
 두번째 시간의 제목은 시작이 반이 아니라는 것이죠.
 저를 돌아보면 정말 시작이 반은 아니었던것 같습니다.
 시작보다 중요한 것은
 인내와 끈기 입니다.
 
 시작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끝까지 완주하기는 어렵죠.
 
 공부에 있어 완주가 있겠냐마는
 많은 사람들에게 인정받을 만한 자리에까지 도달하려면
 인내와 끈기를 가지고
 꾸준히 학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누구나 다 알지만 하기 힘든일이죠)
 
 그래서 여러 번 시행착오를 겪은 제가 내린 스스로의 학습방법은
 관심과 재미 그리고 끈기
 이 세가지 입니다.
 이 세가지 외에도 많이 있지만
 지금은 이 세가지에 좀 더 집중하려고 합니다.
 
■ 바이너리   이진법   0 과 1
 위 소제목만 기억해 두셔도 이번 시간의 반은 먹고 들어갑니다.
 이진법을 영어로 하면 바이너리 시스템이죠.
 수학에서 배우게 되는 이진법은
 컴퓨터에서 결코 빠질수 없는 중요한 파트입니다.
 컴퓨터는 0 과 1  즉 바이너리와 역사를 같이 한다고 볼 수 있죠.
 
 우리가 평소 사용하는 수는 십진법이죠. 0부터 9까지
 그리고 9 다음에는 10
 
 이진법은 0 과 1 두가지 숫자로 수를 표현하는데
 0 다음은 1  1 다음은 2가 아니라 10 이랍니다.
 어떻게 1 다음이 2가 아니라 10이 되냐고요?
 
 이게 바로 이진법이에요.
 
 글로 이 내용을 설명하려니 쉽지 않네요 ㅎㅎ
 
https://ledgku.tistory.com/14
 
 위 주소를 클릭해 보세요.
 
 아  이진법(바이너리)이 이런거구나   알 수 있을거에요.
 
 바이너리를 공부하다보면
 바이너리 파일, 텍스트 파일이라는 두 개의 용어를 접하게 되는데요.
 
 이 두 가지에 대해서 좀 더 공부를 해봐야겠습니다.

반응형

댓글


설명